양식업, 소비활성화없이는 불황 탈출 어렵다
상태바
양식업, 소비활성화없이는 불황 탈출 어렵다
  • 탁희업
  • 승인 2019.02.21 1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광어 양식업계가 겪고 있는 상황을 대변하는 말들이다.


광어(넙치) 가격 하락을 막고, 소비를 확대를 위해선 소비자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생존전략 모색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최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가 발간한 동향분석에서도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광어 가격 하락은 공급 과잉과 더불어 소비 패턴 다양화에 따른 수요 감소에 기인된 것으로 그 심각성이 크다고 발표했다. 일부에서는 광어 소비 부진이 수입산 연어와 방어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데 이러한 삼중고가 비단 광어 양식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라는데 있다. 양식산업 전반에 걸쳐 삼중고가 나타나고 있다. 의무상장제를 시행하고 있는 뱀장어 양식업계도 가격 하락과 출하부진이 있어지고 있으며, 성어 출하 지연으로 실뱀장어 입식도 크게 줄어든 상태다. 더욱이 올해 실뱀장어 채포 부진까지 이어져 뱀장어 양식업계의 위기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가두리의 대표적인 해산어류인 조피볼락 역시 소비부진에 의한 출하량 감소와 가격 하락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양식장에서의 출하 부진과 가격 하락은 치어 입식 부진으로 이어져 종자생산 업계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남지역의 전복 종자 생산업체들은 지난해 생산량의 절반이상을 판매하지 못해 폐기하기도 했으며, 경남과 충남지역 어류 종자생산업체들도 판매부진으로 심각한 경영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경남지역 가두리양식장 특산어종인 쥐치나 숭어등은 입식물량이 없어 방류사업에 눈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판매부진과 가격 하락, 이로인한 입식물량 부진으로 양식산업 전반이 이중, 3중고에 시달리면서 위기 탈출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이 나오지 않을 경우 5년내 양식산업 기반이 붕괴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기도 하다.


KMI 보고서는 활어로 먹는 광어보다 선어 형태로 소비되는 연어, 방어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등 횟감시장의 소비트렌드가 급변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비시장에서의 선호도가 급격하게 변하고 있지만 양식장에서의 출하 형태는 여전히 활어 형태가 전부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횟감을 선호하는 연령층이 제한된 상황에서 활어위주 소비는 당연히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연어를 찾는 젊은 소비 계층을 끌어들이는 제품을 선보여야 한다. 횟감시장 트렌드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소비 패턴도 다양화되고 잇는 반면 양식장이나 정부의 대응은 여전히 예전의 방법을 고수하고 있다.


또한 선어나 간편이용식 등 보관이 용이하고 요리가 쉬운 제품 등 가정에서 손쉽게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선보여야 한다. 고급 횟감인 광어의 이미지를 탈피한 제품을 선보이지 않는다면 소비는 줄어들 수 밖에 없다.


또 한가지는 유통 구조의 문제다.

관측센터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광어 산지가격의 실질가격은 kg당 7647원으로 10년 전 대비 21.6% 하락했고, 명목가격 또한 8600원으로 생산비(9739원/kg)를 밑도는 수준이다. 생산비를 밑도는 광어 산지가격이 형성된 경우는 지난 10년 사이 2008년, 2014년, 2018년 세 차례 있었다. 가격 하락의 원인은 모두 공급 과잉에서 비롯됐다.


하지만 소비지에서의 판매 가격은 예전과 변화가 없다. 보통의 횟집에서 광어회는 1인당 4만, 6만, 8만원선이다. 생산원가를 밑도는 수준으로 가격이 떨어졌다고는 하지만 소비자들에게는 전혀 영향이 없다. 생산지에서의 가격하락이 소비지에서도 나타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격이 떨어지면 구매의욕이 올라갈 수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9일 수산업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 수산혁신2030을 발표했다. 2022년까지 추진할 구체적인 과제도 포함했다. 수산업 매출 100조원, 어가소득 8000만원, 일자리 4만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양식업계의 반응은 신통치 않다. 어촌뉴딜사업이나 산지거점유통센터 건립, 스마트양식단지 건설 등 기반사업이 주류를 이루고 자원관리형어업으로의 전환, 양식어장 심사평가제 도입 등 규제 일변도의 정책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당장 시급한 과제인 소비확대를 위한 정책은 어디에도 담겨져 있지 않다.


양식업계의 아우성이 더 이상 높아지지 않게 해야 한다. 더 이상 방치하면 수산혁신이 완료되는 2030년에는 양식산업이 붕괴될 수 있다. 우선 시급한 과제를 찾아 응급조치를 시행하고 중장기 계획도 마련해야 한다. 더 이상 시장에 맡겨둘 상황이 아니다. 적극적인 소비활성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반값 판매 등 대형마트가 실시하는 단발성 행사로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어렵다. 생산원가가 보장되는 출하 가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유통상인들의 적정한 이유 보장과 함께 소비자들도 안전하면서 위생적인 양식 생산물을 적정한 가격에 손쉽게 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선순환적 구조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양식산업의 미래를 보장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