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 대량 출현 방지 중장기 대책, 최선인가?
상태바
해파리 대량 출현 방지 중장기 대책, 최선인가?
  • 탁희업
  • 승인 2018.02.13 15: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바다의 불청객으로 불리는 해파리에 대한 중장기적인 대책을 내놨다. 연간 최대 3000억원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는 해파리에 대한 대책마련과 추진은 반가운 일이다. 특히 지난 2004년이후 주의보 발령이 늘어나고 어구 및 어획물 품질을 저하시켜 어업인들의 가장 골칫거리인 해파리에 대한 중장기 계획은 수산업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수산부는 지난12일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어업인에게 피해를 주는 해파리를 없애기 위해 전국 단위 중장기계획을 수립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해파리 부착유생 전국 분포도 구축과 권역별 부착유생 대량 서식지 관리, 교육 및 홍보, 국내외 네트워크 강화, R&D와 연계한 부착유생 관리기술개발 및 신기술 현장 적용 확대등이 추진과제로 포함돼 있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전국 연안 30개소의 해파리 부착 유생 탐색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오는 2022년까지 획기적으로 해파리 피해를 저감시키겠다는 것이 이번 계획을 목표다. 외부로부터 유입이 우려되는 개방형 해역이나 해파리 대량 발생 주의보 상습 발령되는 진해만과 득량만, 고성, 자란만 등의 해역을 탐색하고 서, 남, 동해안으로 단계적으로 부착 유생을 제거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해파리는 지름 15cm내외로 성체는 최대 30cm이상되는 투명한 몸체를 가진 보름달물해파리다. 이 해파리는 번식력이 강해 최초 발생한 부착유생(폴립) 1개체가 자가분열을 통해 약5000여개체까지 증식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사라졌다가 수온 상승기에 나타났으나 최근에는 토착화돼 월동까지 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량 증식의 원인은 늘어나고 있는 방파제등의 해상 인공구조물과 해양생태계 변화, 연안 오염등이 지적되고 있다. 정치망이나 고정식 어망, 방파제나, 원자력발전소 취수구등이 주요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번 종합대책은 해파리에 대한 종합대책이라기 보다는 부착 유생 관리에 국한된 느낌이다. 현재의 인력이나 장비, 기술을 감안해 최선의 방법이라고 하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보름달물해파리의 부착 유생은 수중 잠수부들이 직접 해수를 분사해 제거하고 있다. 최근 3∼4년간의 모니터링 결과 폴립 제거후 성체 감소율이 뚜렷해 당장의 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이같은 폴립 제거작업이 해파리의 대량 번식 방지를 장담하지는 못한다. 갈수록 인공구조물은 증가될 것이며, 연안 환경 역시 오염이 가속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해양생태계 변화 및 영향을 고려해 새로운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지만 현장 적용은 미지수다. 일단 대량 번식이 될 경우에 대비한 대책은 크게 부족하다. 취약 해역의 부착 유생 탐색 확대와 대국민 교육 및 홍보 강화가 최선일 수 없다.

해파리의 대량 발생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나 연안 환경 변환에 대한 대응, 인공 구조물의 증가에 대한 대응책도 함께 고려돼야 한다. 특히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은 장기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해파리는 수산 생물이다. 동물성 플랑크톤을 대량 섭식하는 유해생물이지만 수산 자원의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해파리 자체의 소득원 활용이나 기능성 물질 등의 경제적 가치도 고려해야 한다. 부착 유생에 대한 대책에 국한하기 보다는 수산자원으로의 활용까지 포함한 광범위한 계획이 마련돼야 한다. 현재로서는 최상의 방법일 수 있으나 근본적인 최선의 대책이 아니라는 것이 감안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