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5억 달러 수출 달성의 의미와 과제
상태바
‘김’ 5억 달러 수출 달성의 의미와 과제
  • 한국수산경제신문
  • 승인 2018.01.04 07: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경섭 한국김산업연합회 회장
 

최근 세계 어느 나라의 마트나 식료품점에 가보면 우리나라 김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낯선 이국의 땅에서 만나는 친숙한 한국산 김은 우리에게 반가움을 느끼게 해줌과 동시에 우리 식품이 세계 곳곳에 퍼져 나간다는 자부심을 느끼게 해준다.

세계 방방곡곡에서 우리 김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김 수출이 그만큼 잘되고 있다는 증거다. 김 수출은 지난 2010년에 1억 달러를 돌파한 이래 불과 2년만인 2012년에 2억 달러, 2015년에는 3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비약적인 성장을 거뒀으며, 지난 연말에는 사상 최초로 5억 달러 수출을 달성하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식품으로 자리 잡았다.

이와 같은 수산물 수출의 총아로 자리매김 하기까지 김 산업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1970년대까지 일본을 단일시장으로 마른김 위주로 수출했으나, 1978년 일본이 자국의 김 생산어가 보호를 위해 한국산 김 수입을 중단하면서 국내 김 업계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됐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80년대에 양식기술 개발, 기계건조기 도입 등을 통해 대량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도시락용으로 많이 먹는 한국형 조미김을 개발하여 국내 소비의 전환점을 가져왔다. 나아가 1988올림픽 개최 등을 시작으로 한국 김을 세계시장에 적극적으로 알리기 시작했고 1995년에 대일 김 수출이 재개되어 김 수출 활성화의 계기가 만들어졌다.

이후 밥반찬과는 다른 식습관을 가진 문화권에 진출하기 위해 발상의 전환을 해 스낵 시장으로 문을 두드렸다. 그 결과 김의 바삭한 식감과 짭짤한 감칠맛이 주목 받게 됐고, 웰빙문화의 확산에 힘입어 다이어트 건강스낵으로 점차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의 김 제품에 안주하지 않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접목해 현지 소비자의 입맛에 맞게 다양한 변신을 꾀하고 있다. BBQ맛김, 김치맛김, 고추냉이맛김 등 우리도 접하지 못한 다양한 맛의 제품들이 수출을 목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김에 치즈나 아몬드, 건어물 등을 가미한 김스낵을 개발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렇듯 김이 수출 효자품목으로 우뚝 발돋움한 데에는 추운 겨울 김 양식장에서 고생하는 김 양식업자에서 부터 마른김 생산업자, 가공·수출업자에 이르기까지 김 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분들의 피땀 어린 노력과 도전정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결합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다만, 험한 바다에서 풍랑을 만나지 않는 배가 없듯 세계를 향해 순항 중에 있는 김 산업에도 몇 가지 넘어야할 파도들이 기다리고 있다. 수출 물량의 안정적인 공급이 필요하며 품질 및 위생관리에 대한 높은 요구에도 대응해여야 한다. 또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 추세 및 비관세 장벽 강화 등에 대한 슬기로운 대처가 요구된다.

다행히 정부가 김 산업의 중요성과 성장 가능성을 인식하고 2024년까지 김 수출 1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는 ‘김 산업 발전방안’을 작년 9월 발표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김의 지속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생산기반을 조성하고, 품질과 위생관리를 강화하며, 수출을 위한 경쟁력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우리 김 업계의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위생과 품질 향상에 신경을 써야한다. 국민들에게 맛좋고 안전한 김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 생산업자들은 세심하게 위생과 품질을 관리할 책무가 있다.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김 양식 여건이 좋아 품질이 우수하고 양식·가공 기술이 뛰어나 김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앞으로 우리 김이 세계인에게 대중적으로 사랑받는 밥반 뿐만 아니라 간식을 한단계 뛰어 넘어 웰빙식품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많은 성원과 사랑을 부탁드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