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동해안 오징어 산업
상태바
위기의 동해안 오징어 산업
  • 탁희업
  • 승인 2017.11.23 1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해안의 오징어 산업이 위기에 봉착했다. 이 지역 오징어 생산량은 지난 1990년과 비교해 70% 가까이 감소했다. 이로인해 오징어 조미 가공 업체도 원료난으로 폐업해양될 처지로 내몰리고 있다.

중국 어선의 북한 동해 수역 입어가 가장 큰 이유로 거론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동해안의 대표 수산물로 상징되던 오징어가 사라지면서 해당 어업인은 물론 오징어 판매 및 음식점, 가공공장들까지 연쇄적으로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강원도지역 오징어 가공업체들은 고용재난지역 선포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페루와 칠레 앞바다에서 이상고온 등의 현상으로 대왕오징어가 자취를 감추면서 원료 수급의 길까지 막혀버린 상황이다. 특히 이 지역에서도 중국 어선들이 차지해 중국에서 오징어를 수입해야될 처지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상반기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오징어 어획량은 전년 동기(2만8300톤) 대비 29.3% 감소한 약 2만 톤이다. 강원 지역만 국한하면 어업생산지난해 오징어 생산량이 6745톤으로 지난 1990년 2만1617톤과 비교하면 68.8%나 급감했다.

오징어 어획량 감소 원인은 기온상승에 따른 자원 변동, 과다 어획 등 다양하게 지적되고 있다.

현재의 상황이 지속될 경우 동해안에서도 명태에 이어 오징어까지 사라질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다. 명태가 사라진 동해안에 오징어까지 자취를 감춘다면 지역 수산업은 흔적도 없이 사라질지 모른다. 정부의 적극적인 장, 단기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우선 정부 차원에서 동해안 오징어 산업 전반에 대한 실태 조사와 함께 산업이 유지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원료난을 견디지 못하고 휴업을 결정한 업체와 가동중단으로 실직위기에 처한 근로자들에 대한 지원책을 우선 강구해야 한다. 강원도 환동해본부의 ‘주문진 오징어 가공업체 위기 극복을 위한 긴급회의’ 결과를 정부 차원에서 함께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중국 어선들의 조업을 막을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동해안 어업인들은 중국어선들의 싹쓸이 조업을 가장 직접 적인 요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북한수역에서 조업하는 중국 어선은 2004년 140척에서 2016년 1238척으로 12년 새 9배가량 늘었다.

이들 중국 어선은 쌍끌이저인망 어선들로서, 채낚이 어선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싹쓸이 조업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 수역에서의 불법조업을 철저하게 단속하면서 북한 수역내 우리 어선의 입어 방안도 강구해 볼 필요가 있다. 중국 어선의 입어는 북한과 민간 차원의 입어라고 하지만 우리 민간단체를 통한 입어 교섭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암묵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국내 트롤과 채낚기 어선과의 공조조업을 철저하게 막아야 한다. 하지만 현장을 직접 목격해 해상에서 이뤄지는 공조조업을 단속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때문에 위치추적발신기 장착 의무화와 이를 통한 감시 시스템을 조기에 구축해야 한다. 근해채낚기 어선들의 광역 상향 조정요구를 받아들이는 대신 위치추적발신기 장착과 운용 의무화를 법제화한다면 불법어업 단속은 근절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적으로는 동해안 오징어 자원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실시해야 한다. 오징어 자원의 변동 원인은 아직도 불명확하다. 단지 추정하거나 어획량에 따른 추후 추론에 불과하다. 동, 서, 남해안의 계절별, 수온 변동에 따른 어획량을 연구하고 실제 자원변화를 밝혀야 한다. 동해안에서 ‘살아있는 오징어를 찾는다’는 현수막이 내걸리지 않도록 지금 당장 행동에 나서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