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분야도 일자리 창출에 나서야 한다
상태바
수산분야도 일자리 창출에 나서야 한다
  • 탁희업
  • 승인 2017.06.08 1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일자리 창출이 국정 주요 과제로 등장하면서 각 산업분야별로 가종 대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대통령직속 일자리창출위원회도 지난 1일 일자리 100일 계획 정책 구상을 발표했다. 또한 중장기 과제에 대해 5년 로드맵을 만들어 성장과 일자리 분배의 선순환 구조를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공공부문 81만개 일자리 로드맵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추진하는 동시에 민간부문에 대해서도 경제 체질을 일자리 중심 구조로 전환할 방침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공무원 1만200명 추가 채용을 추진하고 추가경정예산 11조원 확보에 나섰다.


각 지자체는 물론 공공기관, 공기업은 물론 민간단체와 기업체도 질좋은 일자리 창출을 추진한다며 가세하고 있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각종 정책 방향이 달라지지만 이번 일자리 창출은 국민 생활과 직결돼 많은 관심과 이목을 모으고 있다. 때문에 취업을 앞둔 젊은이들 뿐만 아니라 이들을 채용하는 공공기관과 기업체들도 다양한 방안 마련에 골몰하고 있는 것이다.


수산분야 공공기관은 이번 일자리 창출이 절호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정원 한명을 증원하는데도 행정자치부등과의 협의등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것에 비하면 더없이 좋은 상황이다. 어떠한 논리와 설득력을 보이냐에 따라 실적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일자리 창출위원회는 8월중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로드맵을 마련, 직무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만성적인 인력 부족을 겪어온 수산분야 공공기관은 이번 기회를 통해 적절한 인력 확보에 나서야 한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과제에 성과를 보이는 것은 물론 우수 인력을 유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수산연구의 총본산인 수산과학원은 행정자치부가 주관한 2017년도 책임운영기관 평가결과에서 최우수기관에게 수여하는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현장중심’, ‘미래대비’를 기관운영의 대표 전략으로 설정하고 수산분야 핵심기술 연구에 선두적인 역할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은 것이다. 하지만 수산과학원의 연구인력 비중을 보면 연구사 1명에 비정규직인 연구보조인력을 두고 구조다. 심지어 수년간 정규직 전환을 기대하며 비정규직에 종사하는 이도 있다.

바다숲 조성과 바다목장화를 추진하는 수산자원관리공단 역시 비정규직 인력이 정규직의 2배 가량이다. 자원량 판단의 바로미터인 TAC조사요원들 모두 비정규직이다. 정규직 인력 확보가 우수한 실적을 보장하거나, 비정규직의 수준이 낮다는 것은 아니다. 책임감이나 사명감은 물론 해당 업계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수한 인력의 확보가 관건인 것이다.


하지만 수산분야의 일자리 창출은 인위적인 일자리 창출보다는 정책을 통한 안정적인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자원남획과 기후변화등으로 수산업의 미래가 불투명해지면서 수산관련 종사자들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어촌 역시 고령화가 진행되고 공동화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다. 젊은 인력들이 어촌으로 돌아오고 수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된다면 젊은 인력들이 어촌으로 대거 유입될 수 도 있다.

도시민보다 소득이 높고 어촌에서의 삶의 만족도가 높다면 귀어귀촌 인력이 증가하고 일자리도 자연스럽게 조성될 것이다. 전복양식에 도시의 젊은 인력이 유입되는 이유도 높은 수익이 보장되고 삶의 만족도가 높기 때문이다. 특히 수년간 공들여 육성한 후계인력들이 수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도록 지속적이면서도 강력한 지원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