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면 어업 진흥 기본 계획에 내수면 미래 달렸다
상태바
내수면 어업 진흥 기본 계획에 내수면 미래 달렸다
  • 탁희업
  • 승인 2016.12.08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양수산부는 연말까지 향후 5년간(17년~21년)의 정책방향을 담은 ‘제5차 내수면어업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내수면양식단체연합회는 지난 8, 9일 양일간 전북 부안에서 ‘내수면 양식산업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내수면 양식 산업 학술세미나’를 가졌다. 정부와 민간단체는 물론 연구기관 등 내수면 전문가들이 모처럼 한자리에 모여 내수면어업과 양식업의 발전을 위해 힘을 모으는 자리가 마련된 것이다.


내수면 양식 수산물 생산량은 전체 수산물 생산량의 1%에 불과하지만 부가가치측면으로 보면 수산물 생산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송어와 뱀장어, 향어등은 고부가가치 6차산업으로 기대되고 있다. 향어, 메기, 동자개, 미꾸라지 등 전국 양식 생산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전북도의 경우 양식어류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내수면수산식품산업거점단지조성사업(70억원)’에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으며 수산업 6차 산업의 성공 모델로 육성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 역시 소규모․영세업 이미지에 머물러 있던 내수면 양식업의 발전을 돕기 위해 ‘내수면 양식산업 활성화 대책’을 수립(11월) 하고, 전담팀을 꾸리고 연말까지 앞으로 5년간의 진흥 계획도 발표할 예정이다. 내수면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정책 방향도 강화돼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모처럼 조성된 내수면어업과 양식에 대한 활성화에 양식어업인 역시 기대와 설렘이 높은게 사실이다.


미래 산업으로서 내수면양식이 제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이번 진흥기본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책 방향이 해당 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기본적인 고부가가치품종에 대한 기술개발은 물론 생산과 유통, 가공, 수출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담아야 한다. 특히 산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어떤 유인책을 제시하느냐가 중요하다. 때문에 기본 계획 수립에 현장의 양식어업인 의견을 제대로 담아야 하고, 관련 법규와 제도 개선 방안도 수록해야 한다.


맑은 물 보호 정책이 추진되면서 댐 호수에서의 향어 가두리양식은 전면 폐쇄되고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정부 정책에 따라 불과 20여년만에 산업이 흔적만 남고 사라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전철을 다시는 밟아서는 안된다. 이를위해서는 관련 법과 제도를 철저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동안 업계가 꾸준하게 주장해 왔던 육상양식장의 허가제 도입도 검토해 봐야 한다. 보상문제가 걸림돌이라면 이에 대한 제도를 보완하면 된다. 한순간에 산업이 몰락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과감한 투자는 불가능한 일이다.


내수면양식업계의 고질적인 문제가 유통과 가공분야다. 중간상인들에 의한 가격 결정은 업계발전의 걸림돌이며 소비 역시 넘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내수면 수산물 유통판매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정도 규모로는 유통 개선 효과를 장담할 수 없다. 노량진수산시장 이상의 전문유통시장이 필요하다. 생산자가 위탁 판매를 의뢰하고 시장이 도매상인들을 대상으로 판매가 이뤄지는 수집과 분산기능을 갖춘 시장을 만들어 내수면 양식 생산물의 유통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 시켜야 한다.

특히 과익 생산과 이에 따른 가격 하락 방지, 나아가 해외 수출을 위한 기능성 건강 식품 등 가공품 개발을 위한 육성 방안도 담겨야 한다. 내수면 진흥기본 계획이 내수면의 미래가 달려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육성과 지원 방안을 담아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